기획기사

매거진 상세 이미지

Shaka : Aloha Story

FEATURE STORY
5


샤카(Shaka)사인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펴면 완성된다. 


서퍼들의 손짓 샤카는 1960년대 캘리포니아와 미국 전역에 서핑이 널리 퍼지면서 인기를 얻었고 빠르게 서핑 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사람들은 이 새로운 제스처에 열광했다.


서퍼들 외에도 스포츠 애호가들을 비롯한 유명인들이 샤카 제스처를 쓰기 시작했는데, 그중 미국의 전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 또한 공식적인 자리에서 샤카를 자주 사용하며 이 제스처는 더 높은 유명세를 떨치게 되었다.


obamawhitehouse.archives.gov /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제니퍼 프록터 소위의 샤카 포즈


그렇다면 샤카의 진정한 뜻은 무엇일까. 샤카는 "안녕", "고마워", "알았어", "만나", "평화", "조심해", "진정해", "아주 좋아", "행복해"처럼 긍정적인 의미를 포괄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여러 나라에 따라 해당 제스처는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


중국의 경우 숫자 ‘6’을 의미한다. 러시아에서는 ‘맥주 마실래?’라는 초대의 표현으로, 카리브해 섬에서는 성적 접촉을 암시하는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화 받아’, ‘전화할게’의 표현으로 쓰이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샤카 탄생에는 다양한 설이 존재하는데 이 중 가장 유력한 이야기는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Joseph F. Smith Library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Brigham Young University Hawaii / Laie Bay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Hamana Kalili(왼쪽에서 두 번째). Thalia Butler의 저널에서. 1921.


하와이에서 사탕수수 농사가 활발히 진행되던 시절. Laie마을 하마나 칼리이(Hamana Kalili)라는 청년의 이야기이다. 


칼리이는 사탕수수를 압착기 롤러 사이로 밀어 넣어 즙을 짜내는 일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칼리이의 오른손이 롤러에 빨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했고 그로 인해 검지와 중지, 약지가 절단되었다.


더 이상 공장에서 일할 수 없었던 칼리이에게 농장 주인은 선셋 비치와 카와와 구간을 운행하는 설탕 운송 열차의 보안 요원 자리를 맡겼다. 열차가 카후쿠 역에서 움직이기 시작할 때 아이들이 열차에 뛰어오르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를 제지하는 일 또한 그의 업무 중 하나였다.


Brigham Young University - Hawaii Campus / 사탕수수밭을 지나고 있는 기차


한참 장난기 가득한 아이들이 열차에 올라타려고 할 때면 칼리이는 소리를 지르고 손을 흔들면서 그들을 저지했다. 그의 오른손에는 두 개의 손가락만이 존재했다.


이 후 아이들은 그의 손동작을 제스처로 만들어 칼리이가 주변에 없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으니 열차에 뛰어올라도 좋다는 신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샤카”라는 단어는 사실 하와이어가 아니다. 이 단어는 1960년대 TV광고 마지막 부분에 이 제스처와 함께 “Shaka, brah!”라고 외치던 David “Lippy” Espinda에서 유래됐다.


1976년에는 호놀룰루 시장 삼선에 도전하던 프랭크 파시(Frank Fasi)가 자신의 선거 운동을 펼칠 때 샤카를 활용했고, 그 이후 세 번의 선거 운동을 일으키며 더욱 명성을 크게 얻었다.


그리고 샤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다큐멘터리가 개봉을 앞두고 있다. 다큐멘터리 'Shaka: A Story of Aloha'는 어린시절 하마나 칼리이로부터 낚시와 삶의 교훈을 배운 쿠푸나(Kupuna)가 공유한 구전 역사를 다루며 영상이 시작된다. 샤카 사인의 시작지 Laie에서 부터 그 이후의 이야기를 쫒아가며 탐구하는 이 다큐멘터리는 2023년 6월 21일 개봉 예정.




오늘도 고생한 모두에게 'Shaka'


Written by Sejan

1 개의 댓글

댓글입력
프로필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