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수 서핑용어 100
SURFING LESSON
- 0
서핑을 시작함과 동시에 이해하기 힘든 외계어가 들리기 시작한다. 심지어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원주민조차도 서퍼가 아니라면 이해하기가 어렵다.서핑에 갓 입문한 서퍼들과 서핑을 시작하려 하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단어들을 선별했다. 대부분의 서핑 용어는 영어권 문화에서 넘어왔지만 싱가포르의 싱글리시처럼 간혹 오역돼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니 웃어 넘기도록 하자.
[ ㄱ ]
1. 건 보드 (Gun Board)
큰 파도를 타기 위해 제작된 서프보드
2. 구피 (Goofy)
보드에 올라 섰을 때 오른발이 앞이면 구피(Goofy) * 반의어 - 레귤러 (Regular)
3. 그롬 / 그람 (Grom)
나이가 매우 어린 / 젊은 서퍼
4. 그린룸 (Green Room)
배럴 / 튜브 라이딩을 할 때 깊은 안쪽 면
5. 글라시 (Glassy)
바람이 전혀 없어 파도면이 거울처럼 깨끗할 때를 표현. 서핑하기 좋은 파도 * 예시 - 파도 완전 글라시 해!
6. 글라싱 (Glassing)
서프보드를 만드는 과정 중 파이버글라스를 사용해 마무리 하는 작업
.[ ㄴ ]
7. 노즈 (Nose)
서프보드의 앞 쪽 끝부분
8. 노즈 라이딩 (Nose Riding)
서프보드의 앞쪽 끝에 서퍼의 발을 올리는 기술
9. 뉴 스쿨 (New School)
보다 최근에 만들어진 새로운 기술 혹은 행동. 일반적으로 에어 기술을 많이 하는 서퍼
.[ ㄷ ]
10. 더블 오버헤드 (Double Overhead)
파도가 서퍼 키의 두배 높이
11. 덕 다이브 (Duck Dive)
파도가 덮쳐 올 때 파도 밑으로 빠져나가는 기술
12. 드롭 / 드롭인 (Drop / Drop In)
이미 파도를 타고 있는 서퍼가 있음에도 파도를 뺏어 타는 경우 (서핑룰 참조) * 예시 - 00가 드롭했어 / 00한테 드롭당했어
13. 드라이 슈트 (Dry suit)
차가운 수온에 입는 웨트슈트. 외부 물이 침투되지 않는 웨트슈트
14. 딩 (Ding)
서프보드의 상처 / 깨진 곳 * 예시 - 보드에 딩났어
15. 딩 리페어 (Ding Repair)
서프보드의 깨진 곳을 수리하는 것
16. 덤프 (Dump)
한번에 무너져버리는 파도. 서핑하기 어려운 상태의 파도를 표현 (일본 / 한국에서만 사용됨) * 유의어 - 클로즈 아웃 (Close Out)
.
17. 라인업 (Line Up)
파도 너머 뒤편 서퍼가 파도를 기다리는 곳 * 예시 - 라인업에서 보자 / 만나자
18. 라커 (Rocker)
서프보드 바닥면의 굴곡
19. 런드리 (Laundry)
세탁기 안에 빨래처럼 말리는 상태를 표현 * 예시 - 아까 런드리 됐어 / 당했어
20. 로거 (Logger)
롱보더의 줄임말
21. 로그 (Log)
롱보드의 줄임말
22. 롱존 (Long John Wetsuit)
팔 부분이 없는 긴 다리용 웨트슈트. 클래식 스타일의 서퍼들이 선호하는 웨트슈트
23. 레귤러 (Regular)
보드에 올라 섰을 때 왼발이 앞이면 레귤러(Regular) * 반의어 - 구피 (Goofy)
24. 로컬 (Local)
원주민, 토속민, 지역 사람
25. 로컬리즘 (Localism)
서핑 지역주의, 지역의 권리, 보호를 위해 외부인에게 대한 적대적 행위
26. 리시 (Leash)
다리와 보드를 연결해주는 줄
27. 리프 (Reef)
암초. 산호초, 돌
28. 리프 브레이크 (Reef Break)
암초, 산호초, 돌과 같이 딱딱한 물질로 구성된 바닥면
29. 리핑 (Ripping)
에너지 넘치는 빠른 라이딩을 반복적으로 할 때 쓰는 표현
30. 립 (Lip)
파도가 깨지는 부분..
[ ㅁ ]
31. 매버릭 (Maverick)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유명한 큰 파도 명소
32. 머쉬 (Mush)
힘이 없고 느릿한 파도를 표현 * 예시 - 너무 머쉬해서 못 타겠어
33. 메인 포인트 (Main Point)
지역의 가장 유명한 서핑 장소 * 예시 - 양양의 죽도 해변, 부산의 송정 해변, 제주도의 중문 해변 * 유의어 - 메인 스폿 / 스팟
[ ㅂ ]
수면이 낮고 파도 힘이 강할 때 생기는 원통형의 둥근 모양 파도 * 유의어 - 튜브 (Tube)
35. 백 워시 (Back Wash)
이미 해변으로 지나간 파도가 해변, 절벽등에서 튕겨져 바다로 나오는 현상
36. 백 사이드 (Back Side)
몸의 등(뒤)쪽 방향 * 반의어 - 프론트 사이드 (Front Side)
37. 뱅크 ( Banks)
모래가 많이 쌓여 수면이 낮아진 곳. 서핑하기 좋은 파도가 생기는 장소
38. 보텀 턴 (Bottom Turn)
파도면 하단부에서 체중을 실어 스피드를 만들기 위한 동작
39. 보드숏 (Boardshorts)
서핑할 때 입는 기능성 반바지
40. 블링크 (Blank)
서프보드를 만드는 폼(Foam)
41. 부기보더 (Boogieboarder)
바디보더의 다른 표현
42. 비치 브레이크 (Beach Break)
바닥면이 모래로 구성된 지형에 생기는 파도
.[ ㅅ ]
43. 사캬 (Shaka)
하와이 관습에서 시작된 서퍼들이 사용하는 손동작으로 감사, 인정, 존중등의 표현
44. 세트 (Set)
여러 개의 파도가 연이어 오는 현상
45. 숄더 (Shoulder)
파도의 피크가 넓은 경우, 그 피크의 끝자락으로 라이딩이 가능한 파도면
46. 쇼트 / 숏 보드 (Short Board)
짧은 보드. 한국 대회 기준 6,9피트 이하 보드
47. 쇼어 브레이크 (Shore Break)
해변 가까이 부서지는 파도
48. 스폰지 보드 (Sponge Board)
글라싱을 하지 않은 스티로폼 서프보드. 일반적인 서핑스쿨의 렌탈 보드
49. 스네이크 (Snake)
차례를 지키지 않고 새치기 하듯 파도를 뺏어타는 행위 (서핑룰 참조)
50. 스웰 (Swell)
먼 바다 폭풍으로부터 밀려오는 파도의 강도, 방향의 평균치
51. 스폿 / 스팟 (Spot)
서핑 가능한 장소, 지역 * 유의어 - 포인트 (Point)
52. 싱글 핀 (Single Fin)
핀 한 개로 타는 서프보드...
[ ㅇ ]
53. 아웃사이드 (Outside)
라인업을 넘어선 지역. 일반적으로 평균보다 큰 파도가 올 경우 바깥쪽으로 피하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54. 에이프레임 (A- Frame)
알파벳 A 형태의 파도. 양 방향으로 서핑이 가능한 파도 형태
55. 에스키모 롤 (Eskimo Roll)
서프보드를 뒤집어 파도를 뚫고 나가는 기술. 롱보드에 많이 사용됨 * 유의어 - 터틀 롤 (Turtle Roll)
56. 에어 (Air)
서핑 기술 명칭, 서퍼와 서프보드가 파도위를 함께 뛰어오르는 동작 * 유사어 - 에어리얼 (Aerial), 점프(Jump)
57. 에폭시 보드 (Epoxy Surfboard)
EPS 폼으로 만들어진 서프보드. PU 보드에 비해 튼튼하고 부력이 높지만 가격대가 높음
58. 오션 (Ocean)
바다, 대양 * 유의어 - Sea
59. 오버헤드 (Overhead)
파도가 서퍼 키와 비슷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높이
60. 오프쇼어 (Offshore)
해안에서 바다로 부는 바람. 서핑하기 좋은 조건의 바람
61. 온쇼어 (Onshore)
바다에서 해안으로 부는 바람. 서핑하기 좋지 않은 조건의 바람
62. 워킹 (Walking)
균형을 잡으며 서프보드 위를 걷는 기술* 유의어 - 크로스 스텝 (Cross Step)
63. 와이프 아웃 (Wipe-out)
균형을 잃고 보드에서 넘어짐. 한국에서는 테이크 오프 실패로 파도에 말리는 현상을 표현
64. 왁스 (Wax)
서프보드 표면에서 발이 미끌어지지 않기 위해 사용되는 것. 수온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성됨
65. 웨트슈트 (Wetsuits)
기능성 원단 네오프렌(Neoprene)으로 만들어진 서핑 / 잠수복. 몸의 보온효과를 높여줌
66. ASP
Association of Professional의 약자. 프로서핑 협회. 2014년 WSL로 명칭 변경
67. 인사이드 (Inside)
해안과 라인업 사이 파도가 부서지는 곳. 일반적인 라인업 위치보다 안쪽으로 포지션을 잡은 경우 * 예시 - 너무 인사이드에 있는 거 아니야?..
[ ㅈ ]..
68. 조류 (Current)
바닷물의 거센 흐름. 조석현상에 의해 생기는 흐름
[ ㅊ ]..
69. 초피 / 차피 (Choppy)
잔물결이 이는 수면 상태. 서핑하기 좋지 않은 들쑥날쑥 바다 상태.
[ ㅋ ]
70. 컷백 (Cutback)
서핑 기술 이름. 테이크 오프 후 라이딩 방향을 반대쪽 방향으로 바꾸는 것
71. 크로스 스텝 (Cross Step)
중심을 잡으며 서프보드 위를 걷는 기술 * 유의어 - 워킹 (Walking)
72. 쿡 (Kook) 룰을 지키지 않는 사람, 폼만 잡고 좋은 장비가 있지만 서핑을 못하는 사람, ~척 하는 사람의 우스운 모양새를 표현한 서핑 은어 * 유의어 - 포져 (Poser)
73. 크랙 (Crack)
서프보드에 금이 가거나 깨진 부분
74. 클로즈 아웃 (Close Out)
한꺼번에 무너져내려 서핑 하기 어려운 파도 상태. 길이 나지 않는 파도 상태 * 유의어 - 덤프 (Dump) * 예시 - 파도가 클로즈 아웃이야~..
[ ㅌ ]
75. 타이드 (Tide)
조수간만의 차
76. 톱/탑 (Top)
파도가 깨지는 부분
77. 톱/탑 턴 (Top Turn)
서핑 기술 명칭. 속도가 빠른 상태에서 파도가 부서지는 부분을 치는 것
78. 터틀 롤 (Turtle Roll)
서프보드를 뒤집어 파도를 뚫고 나가는 기술. 롱보더용 * 유의어 - 에스키모 롤 (Eskimo Roll)
79. 테일 (Tail)
서프보드의 끝(꼬리) 부분
80. 테일 슬라이드 (Tail Slide)
서핑 기술 명칭. 서프보드의 끝 부분을 이용해 파도의 립을 가로지르는 동작
81. 트랙션 패드 (Traction Pad)
테일 부분 리시 플러그(Leash Plug) 앞에 붙이는 테입. * 유의어 - 데크 그립 (Deck Grip), 라이저 패드 (Raiser Pad)
82. 튜브 (Tube)
면이 낮고 파도의 힘이 강할 때 생기는 원통형의 둥근 모양 파도 * 유의어 - 배럴(Barrel)
83. 트윈 핀 (Twin fin)
핀 두개로 타는 서프보드
84. 트러스터 핀 (Thruster Fin)
핀 세 개로 타는 서프보드. 일반적인 쇼트 / 숏 보드 형태...
[ ㅍ ]
.
85. 파티 웨이브 (Party Wave)
파도 하나에 여러 서퍼들이 함께 타는 것 / 적당한 크기의 파도를 친한 서퍼들과 함께 타는 것
86. 패들링 (Paddling)
서프보드 위에 엎드려 양손으로 물을 저어 앞으로 나가는 기술
87. 패들 아웃 (Paddle Out)
패들링해서 라인업을 향해 나가는 것
88. 펀 보드 (Fun Surfboard)
롱보드보다 짧으며 부력이 크고 넓은 서프보드 형태
89. 펌핑 (Pumping)
파도가 힘이 없을 때 보드를 튕기며 속력을 얻고 자 하는 행동
90. 페이스 (Face)
라이딩이 가능한 부서지지 않은 파도면
91. 포켓 (Pocket)
파도 힘이 가장 강한 부분
92. 포인트 브레이크 (Point Break)
파도가 깨지는 지점이 균일한 서핑 스폿 / 포인트
93. 풀 아웃 (Pull Out)
라이딩을 마치며 파도가 깨지기 직전에 파도 너머로 빠져나오는 것
94. 프론트 사이드 (Front Side)
서퍼의 앞쪽 방향* 반의어 - 백 사이드 (Back Side)
95. 피크 (Peak)
파도의 가장 높은 부분
96. 피시보드 (Fish Surfboard)
물고기 모양의 서프보드
97. 핀 (Fin)
서프보드의 지느러미..
.[ ㅎ ]
.
98. 할로우 / 홀로우 (Hollow)
매우 빠르고 힘이 강한 것 * 예시 오늘 파도 완전 할로우해!
99. 행 파이브 (Hang Five)
서핑 기술 명칭. 한 발을 노즈 부분에 걸치는 기술
100. 행 텐 (Hang Ten)
서핑 기술 명칭. 두 발을 노즈 부분에 걸치는 기술
Photo by WSB Farm Surf Magazine
Write by Donghoon Hoony Han
Reviser Tobi
0 개의 댓글